본문 바로가기
헌법

쉽게 이해하는 대한민국 헌법_48 (제4장 정부 13/20)

by balbi 2025. 3. 5.

 

오늘은 대한민국 헌법 제88조 1, 2, 3항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4장 정부

 

제2절 행정부

 

제2관 국무회의

 

제88조 ①국무회의는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한 정책을 심의한다.

②국무회의는 대통령ㆍ국무총리와 15인 이상 30인 이하의 국무위원으로 구성한다.

③대통령은 국무회의의 의장이 되고, 국무총리는 부의장이 된다.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

 

대한민국헌법

 

law.go.kr

 

1. 제88조 1항 국무회의는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한 정책을 심의한다.

국무회의는 정부의 권한에 속하는 중요한 정책을 심의하는 기구로, 정부의 주요 결정 사항을 논의하고 검토하는 자리입니다. 국무회의는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이 참여하여 정책의 방향성 및 실행 방안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최고정책심의기관 :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정부의 중요정책을 심의하는 최고정책심의기관입니다.
  • 심의 대상 : 국정의 기본계획, 정부의 일반정책, 대외정책 등 국가 운영에 관한 중요 사항을 심의합니다.
  • 구성 : 국무회의는 대통령, 국무총리, 그리고 15인 이상 30인 이하의 국무위원으로 구성됩니다.
  • 법적 성격 : 국무회의는 의결기관이 아닌 심의기관으로, 그 결정에 법적 구속력은 없습니다.
  • 정례회의 : 국무회의는 매주 1회 정례적으로 개최되며, 필요에 따라 임시회의도 소집됩니다.
  • 헌법상 규정 : 헌법 제89조는 국무회의에서 반드시 심의해야 할 17개 항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 국무회의에서 심의하는 주요 안건

  • 법률안
  • 예산안 및 결산
  • 대통령령 및 조약 체결
  • 주요 군사 및 외교 정책
  • 국가 비상사태 관련 대책
  • 기타 대통령이 부의하는 주요 정책

 

2. 제88조 2항 국무회의는 대통령ㆍ국무총리와 15인 이상 30인 이하의 국무위원으로 구성한다.

국무회의는 대통령, 국무총리, 그리고 15인 이상 30인 이하의 국무위원으로 구성됩니다. 이 구성은 정부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고,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국무회의의 대표성과 전문성 확보

  • 각 부처 장관을 포함한 국무위원들이 국무회의에 참여함으로써 정부 각 부문의 전문성과 정책 의견이 반영됩니다.
  • 이를 통해 정부 정책의 균형성과 실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정책 심의 과정의 민주성과 효율성 보장

  • 대통령 중심제에서 대통령의 권한이 과도하게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국정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합니다.
  • 15인 이상 30인 이하라는 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적절한 규모에서 효율적인 토론과 의사결정이 가능하도록 합니다.

3) 권력 분산과 행정부 내 협력 강화

  • 국무회의는 대통령의 자문기구로 기능하면서도, 행정부 내 권력 분산과 협력을 촉진합니다.
  • 국무총리와 국무위원들은 대통령에게 다양한 관점에서 정책적 조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제88조 3항 대통령은 국무회의의 의장이 되고, 국무총리는 부의장이 된다.

1) 대통령의 국무회의 의장 역할

  •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이 국무회의의 의장을 맡음으로써, 국무회의의 최종적인 정책 방향과 결론을 주도합니다.
  • 국무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에 대해 최종 결정을 내릴 권한을 가집니다.
  • 이를 통해 국정 운영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국무총리의 부의장 역할

  • 국무총리는 대통령을 보좌하면서 행정각부를 통할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 국무회의에서 부의장으로서, 대통령 부재 시 회의를 주재할 수 있으며, 정책 심의 과정에서 부처 간 조율 및 의견 수렴을 담당합니다.
  • 이를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보좌합니다.

3) 권력의 집중 방지와 협력적 행정 운영

  •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함께 국무회의를 이끌어 권력의 집중을 방지하고, 집단적 의사결정 구조를 통해 정책 결정의 합리성과 민주성을 강화합니다.

 

이 글은 대한민국 헌법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여, 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중학생이 읽고 ‘아, 우리나라 헌법은 이런 내용이구나!’라고 쉽게 알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었으나, 법적인 해석이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