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헌법

쉽게 이해하는 대한민국 헌법_45 (제4장 정부 10/20)

by balbi 2025. 2. 28.

 

 

오늘은 대한민국 헌법 제80조, 제81조, 제82조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4장 정부

 

제1절 대통령

 

제80조 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훈장 기타의 영전을 수여한다.

 

제81조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하여 발언하거나 서한으로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

 

제82조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써 하며, 이 문서에는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한다. 군사에 관한 것도 또한 같다.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

 

대한민국헌법

 

law.go.kr

 

1. 제80조 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훈장 기타의 영전을 수여한다.

대통령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훈장 및 기타 영전을 수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적을 기리고 국가적 가치를 확산하는 동시에 권력의 남용을 방지하고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합니다.

 

▶ 훈장 수여 절차

  1. 서훈 추천 : 중앙행정기관의 장, 국회사무총장, 법원행정처장 등이 수행합니다.
  2. 공적 심사 : 추천된 대상자의 공적 내용과 국가사회에 미친 영향을 검토합니다.
  3. 국무회의 심의 : 포상 여부와 훈격을 결정합니다.
  4. 대통령 재가 : 국무총리와 대통령의 재가로 포상이 확정됩니다.

▶ 훈장의 종류와 등급

  • 11종의 훈장이 있으며, 대부분 5개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 무궁화대훈장은 등급이 없고, 건국훈장은 3개 등급으로 구분됩니다.

 

법적 근거와 특징

  • 상훈법에 따라 구체적인 서훈 기준과 절차가 정해집니다.
  • 훈장 수여는 대통령이 국가원수로서 행하는 고도의 정치적 행위로 간주됩니다.
  • 개인이나 단체가 훈장을 요구할 수 있는 법적 권리는 없습니다.

 

 

2. 제81조 대통령은 국회에 출석하여 발언하거나 서한으로 의견을 표시할 수 있다.

대통령은 국정 운영과 관련하여 국회에 직접 출석하여 발언하거나 서한을 통해 의견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입법부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국정의 민주적 정당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대통령의 국회 연설 유형

  • 정기 연설 : 국회 개원 연설, 예산안 시정연설 등
  • 특별 연설 : 주요 국정 현안에 대한 연설

 

 

3. 제82조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써 하며, 이 문서에는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부서한다. 군사에 관한 것도 또한 같다.

대통령의 행위가 법적 효력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절차를 명확히 하고, 행위의 책임을 국무총리 및 국무위원과 공유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군사 관련 행위도 같은 절차를 따른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주요 내용

  •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반드시 문서로 해야 합니다.
  • 해당 문서에는 국무총리와 관련 국무위원의 부서(서명)가 필요합니다.
  • 군사 관련 사항도 동일한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부서의 의미와 중요

  • 부서란 국무총리와 관계 국무위원이 자신의 성명을 직접 기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이는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에 대한 책임을 공유하고, 행정부 내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관련 사례

  • 2024년 12월,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과정에서 헌법 제82조 위반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 한덕수 국무총리는 계엄 선포 문서에 부서한 적이 없다고 증언했습니다.
  • 국무위원들도 계엄 선포 문서에 서명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
  • 이 사건은 헌법 제82조의 중요성과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에 대한 절차적 정당성 문제를 부각했습니다.

 

논란과 해석

부서 없는 대통령 행위의 효력에 대해서는 학계에서 의견이 나뉩니다.

  • 무효설: 부서가 없으면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가 무효라는 입장
  • 유효설: 부서가 없어도 대통령의 행위는 효력이 있다는 입장

이러한 논란은 헌법 제82조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습니다.

 

 

이 글은 대한민국 헌법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여, 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중학생이 읽고 ‘아, 우리나라 헌법은 이런 내용이구나!’라고 쉽게 알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었으나, 법적인 해석이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