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헌법

쉽게 이해하는 대한민국 헌법_34 (제3장 국회 14/15)

by balbi 2025. 2. 13.

 

 

오늘은 대한민국 헌법 제63조 1, 2항, 제64조 1, 2, 3, 4항에 대한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자 합니다.

 


 

제3장 국회

 

제63조 ① 국회는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해임건의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제64조 ① 국회는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② 국회는 의원의 자격을 심사하며, 의원을 징계할 수 있다.

③ 의원을 제명하려면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④ 제2항과 제3항의 처분에 대하여는 법원에 제소할 수 없다.

 


https://law.go.kr/%EB%B2%95%EB%A0%B9/%EB%8C%80%ED%95%9C%EB%AF%BC%EA%B5%AD%ED%97%8C%EB%B2%95

 

대한민국헌법

 

law.go.kr

 

1. 제63조 1항 국회는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다.

국회가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는 권한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국회의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정부의 책임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로 작용합니다. 국회가 정부의 고위 공직자에 대한 견제를 통해 민주적 통제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규정입니다.

  • 해임 건의권 : 국회는 국무총리나 국무위원의 직무 수행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할 경우, 그들의 해임을 대통령에게 건의할 수 있습니다.

 

 

2. 제62조 2항 제1항의 해임건의는 국회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에 의하여 국회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국무총리 또는 국무위원의 해임 건의가 이루어지기 위한 조건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은 국무총리나 국무위원의 해임을 신중하게 결정하도록 하여, 정치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국회의 권한을 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 발의 요건 : 해임 건의는 국회 재적의원 3분의 1 이상의 발의가 필요합니다. 이는 최소한의 지지를 확보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 찬성 요건 : 해임 건의가 국회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을 얻어야 합니다. 즉, 전체 의원의 절반 이상이 찬성해야 해임 건의가 통과됩니다.

 

 

3. 제64조 1항 국회는 법률에 저촉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의사와 내부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다.

국회가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의사와 내부 규율에 관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국회의 자율성과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며, 국회가 스스로의 내부 규율을 정함으로써 원활한 의사 진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합니다.

  • 규칙 제정 권한 : 국회는 자체적인 운영과 의사 진행을 위해 필요한 규칙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 법률 준수 : 제정되는 규칙은 반드시 기존의 법률에 저촉되지 않아야 합니다. 즉, 법률의 범위 내에서만 규칙을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제64조 2항 국회는 의원의 자격을 심사하며, 의원을 징계할 수 있다.

국회가 의원의 자격을 심사하고, 의원에 대한 징계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국회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의원의 책임성을 강화하여 국회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 의원 자격 심사 : 국회는 의원의 자격에 대한 심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의원이 자격 요건을 충족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 징계 권한 : 국회는 의원에 대해 징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이는 의원의 행동이나 발언이 국회의 품위를 손상시키거나 규칙에 위반될 경우에 적용됩니다.

 

 

5. 제64조 3항 의원을 제명하려면 국회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의원을 제명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조항은 국회의원에 대한 신중한 결정 과정을 보장하며, 의원의 권리 보호와 국회의 자율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 제명 요건 : 의원을 제명하려면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이 필요합니다. 이는 제명이 매우 중대한 조치임을 반영하여, 높은 비율의 동의를 요구하는 것입니다.

 

 

6. 제64조 4항 제2항과 제3항의 처분에 대하여는 법원에 제소할 수 없다.

이 조항은 국회의 내부 규율과 결정을 법적 분쟁에서 보호하여, 국회가 스스로의 문제를 독립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법원 제소 금지 : 국회가 의원의 자격을 심사하거나 징계, 제명하는 경우에 대한 처분은 법원에 제소할 수 없습니다. 이는 국회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 글은 대한민국 헌법을 쉽고 간결하게 설명하여, 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중학생이 읽고 ‘아, 우리나라 헌법은 이런 내용이구나!’라고 쉽게 알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추었으나, 법적인 해석이나 세부 사항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